본문 바로가기
Web/ETC

웹은 어떻게 작동할까? 네트워크 OSI 7계층 모델

by 긴모양 2020. 5. 12.

OSI의 7계층

OSI계층은 OSI참조 모델이다. 예전의 네트워크 장치들은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네트워크 장치들의 통신규격이 다르기에 환완성이 결여되었고 서로 통신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제시된 OSI참조 모델을 참고해서, 통신장치를 동일하게 만들게 된다. = 각 부품별로의 모듈화 =>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좋다. 

https://www.behance.net/gallery/70948795/TailTalk?tracking_source=for_you_recommendations

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데이터의 흐름을 파악하기 쉽게 단계별로 계층을 7단계로 나눈 것(독립적일 수 있는 모듈화)을 말하며 나누는 이유는 한개의 제품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위의 이미지 경우에 부품들이 하나하나 층이 나눠져 하나의 제품으로 탄생된다. 만약 이 부품들 중 한군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면? 제품을 다 뜯어내고 하나하나 다시 만들어야하지만, 특정 위치에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고 그 부분만 빠르게 고쳐 다시 쓸 수 있다.

7계층인 이유는 상하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하위계층에서 문제가 없어야 상위계층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물리 계층 = 하드웨어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최하위계층으로 0과 1의 비트열, on, off와 같이 전기신호 상태로 이뤄져있다. 케이블의 연결이 올바른지 플러그가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해야한다. 이는 곧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특성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계층에서 물리적 연결을 통해 두 장치간의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고 신뢰된, 안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계층 =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연결

중요한 계층으로 네트워킹 전문가들이 관심을 두는 라우터 기능의 대부분이 속한다. 목적지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내며 각 나라에 있는 서버에 연결하려고 할 때, 효율적으로 처리. 데이터가 전송 할 주소지를 가진다. (IP Adress가 여기에 속함.)

 

전송 계층 =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담당

중요한 계층으로 송수신자 간 신뢰성과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보낼 데이터의 용량, 속도, 목적지와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와 중복검사를 수행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IP) 위에 구축된다.)

 

세션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을 지원

서버나 컴퓨터간의 통신이 필요하면 세션을 만들어야한다.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이해 방법을 정의하는 것으로 통신장치 간의 상호작용과 동기화를 제공한다. 연결이 되면 데이터 교환

 

표현 계층 = 데이터 변환 작업

응용계층의 데이터 표현에서 독립적인 부분, 프로그램의 형식을 준비, 네트워크 형식으로 변환, 네트워크 형식을 응용 프로그램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 응용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 일종의 확장자 역할을 한다. = 인코딩, 암호화 

 

응용 계층 =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으로 사용자와 가장 가깝다고도 할 수 있는 계층이다.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며 예시로는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

 

 

A-Z까지 정리가 잘되어있는 OSI 7계층 참고 사이트

 

[네트워크 network] OSI 7계층 모델 완벽 이해- 이유를 알고 개념을 이해하고 전체 보기(7 layer)

안녕하세요~~! 맨날 운영체제 리눅스 관련 글만 쓰다가 처음쓰는 네트워크 글이네요! 원래 네트워크도 굉장히 좋아했는데,,, 포스팅 쓰는게 아무래도 쉽게 되는게 아니다보니 미루고 미뤄지다 이제야 왔어요 ㅎㅎ..

jhnyang.tistory.com

 

🙋‍♀️개발을 배우고 있는 입장이기에, 세부적이지 않거나 옳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덧붙여 알려주시고 싶으시거나 잘못된 지식으로 인해 수정이 필요하다면 그 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eb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 Man  (0) 2020.05.18
자료 구조의 Array와 Tuple  (0) 2020.05.13
웹이 작동하는 방법  (0) 2020.05.09
git과 github | 로컬 저장소를 터미널에서 활용하기  (0) 2020.04.30
링크  (0) 2020.04.25

댓글